(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예전에는 당뇨병 이라는 것이 나이 든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질병이라고 생각했지만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현재는 30대, 40대 이상의 당뇨 환자 들도 많아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4%, 470만 명 정도가 당뇨환자일만큼 흔한 질환이 되었습니다. 당뇨 라는 것은 혈당이 높아서 핏속에 있는 당이 소변으로 나오는 병입니다. 말 그대로 당이 오줌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당뇨가 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우리 몸의 에너지 저장 호르몬인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식사로 당을 섭취하면 우리 몸은 남아도는 당을 에너지로 쓰기 위해 세포에 잘 저장해둡니다. 이때 인슐린은 세포 안에 당을 넣어두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인슐린이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면 세포 안으로 당을 넣지 못하기 때문에 당이 넘쳐나다 못해 소변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인슐린의 기능이 망가지게 되면 이 기능을 대신하거나 보완해 줄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평생 동안 관리해야 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인슐린의 저하라는 것이 하루만에 갑자기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50대에 당뇨 진단을 받았다 하더라도 이미 20대, 30대, 40대 이전에 생활습관이나 식습관을 통해서 혈당조절 기능이 점점 망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당뇨가 발생하기 전에는 보통 5년~10년정도 당뇨 발병 전 단계 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상태는 건강검진에서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알아내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건강검진 예약을 하면 적어도 8시간 이상 금식하라고 하는 말 들어보셨죠? 그래서 보통 저녁부터 금식을 시작해서 그 다음날 아침에 가서 건강검진을 받게 됩니다. 8시간 이상 공복인 상태의 혈액으로 검사를 하게 되면 당뇨 전 단계의 분들의 경우는 정상으로 나오기 때문에 대부분 걱정을 안해도 된다고 넘어가게 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분들의 경우 식후 혈당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서서히 당뇨로 진행되어 가고 있는 중이라고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당뇨 전조증상 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당뇨 전 증상들을 통해서 당뇨병이 되기 전에 관리를 해야 합니다. 오늘은 당뇨전조증상 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갑자기 살이 찌는 증상

    평소 체중이 많지 않은데 갑자기 살이 무섭게 찌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별로 먹지도 않는데 갑자기 살이 쪘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때 원인을 살펴보면 참을 수 없는 허기를 느낀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우리 몸에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체내에서는 인슐린이 부족하다고 생각해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합니다. 그렇게 되면 과도하게 분비되는 인슐린 때문에 허기감을 느끼게 되고 배고픔을 채우기 위해서 무언가를 먹게 되면서 살이 찌는 악순환이 반복되게 됩니다. 게다가 배가 고프면 굉장히 음식이 맛있게 느껴지고 폭식하게 됩니다. 약간의 공복감이나 배고픔이 무언가를 먹게 만들고 2차적으로 다시 체중 증가를 유발을 하게 됩니다. 

    2. 심한 식곤증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되게 되면 저혈당 상태가 됩니다. 저혈당 상태가 되면 가장 타격을 받는 것이 바로 뇌입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로 뇌입니다. 오로지 뇌는 당만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저혈당 상태에서 뇌로 적절한 당이 공급되지 않으면 극심한 식곤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런 분들은 탄수화물에 갈망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당을 제대로 저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 몸이 비상상태라고 인식하게 되고 당을 계속 축척하려고 하려고 해서 입니다.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자꾸 밥이나 빵, 면에 대해 식탐이 생겨 과식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사탕이나 과자 같은 단 음식이 없으면 불안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3. 전신무력감

    인슐린이 나중에 쓸 에너지를 비축하기 위해서 세포에 당을 저장을 하는데 인슐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면 우리 몸의 에너지 효율도 떨어지게 됩니다. 내 몸에서 에너지가 원활하게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늘 피곤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조금만 일해도 피곤하고 자고 싶고 늘어지는 전신무기력감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4. 상처나 염증이 잘 낫지 않는다

    혈당이 높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콧속이나 입속처럼 부드러운 피부에 생긴 염증이 낫지 않습니다. 생채기가 생기면 아무는 시간이 이전에 비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민감한 분들의 경우 탄수화물 섭취 후 혈당이 높아지면 가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당뇨병 전조증상일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당뇨 전조증상 이 나타난다면 속히 혈당 체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당체크 시에는 공복에 하지 말고 식사하고 난 뒤 1시간 뒤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가족 중에 당뇨가 있는 분들의 경우라면 좀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당뇨전조증상 발견하고 관리만 한다면 충분히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