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환전은 미리 온라인에서 저렴하게 합니다. 

온라인, 인터넷뱅킹, 스마트폰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대체로 여행간다고 하면 사람들은 은행에 가서 환전을 하는데 그렇게 되면 손해입니다. 온라인으로 환전하는 것이 가장 싸고 간편합니다. 

요즘에는 인터넷뱅킹이나 온라인뱅킹으로 하면 환율우대를 무려 90%나 해주고 있습니다. 은행에 가서 환전하게 되면 얼마나 우대를 해주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환전 영수증에 우대금액은 나오지만 우대율은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은행에서 90%우대를 하게 되면 역마진이라 은행 영업점에서는 하기 어려운 우대율입니다. 금액이 많은 경우라거나 환전 정도는 은행이 적자를 봐도 괜찮을만큼의 수익이 나는 고객이라면 해줄 수 있겠지만 대체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것이 그렇듯이 사람 손을 덜 거쳐야 단가가 내려갑니다. 꼭 인터넷에서 환전하고 환전 시에 내가 언제 받으러 갈 것인지 날짜와 해당 지점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스케줄이 안되서 은행방문이 어려울 경우는 당일 공항에서 금액을 받아갈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환전하는 사람이 수령자 지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신 가서 수령하셔도 됩니다. 

2. 카드결제는 반드시 현지통화나 달러로 결제합니다. 

카드결제시 전신환 매도율이라는 환율이 적용되어 현금으로 환전하는 것보다 환율이 더 저렴합니다. 장기체류할 경우 많은 현금을 들고 다니면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카드결제 사용을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지통화로 결제할 것인지, 원화로 결제할 것인지 해외에서 카드결제 시 직원이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원화보다는 현지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우리가 해외에서 결제하면 어떤 통화로 결제하든 미국 달러로 환전됐다가 원화로 환산되어 우리에게 청구가 됩니다. 그런데 원화로 처음부터 결제하게 되면 환전과정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엔화를 결제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렇게 되면 비자카드나 마스터카드와 같은 브랜드사로 내용이 전송됩니다. 우리가 브랜드사의 카드를 이용하게 되면 카드발급시 연회비를 내고 해외사용시 브랜드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그래서 해외에서도 카드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때 엔화가 달러로 환전되게 됩니다. 그 이후 브랜드사에서는 한국카드사로 내용을 전송할 때 원화로 환전해서 전송하게 됩니다. 

해외에서 원화로 지불할 경우) 현지통화-> 달러-> 원화-> 달러 -> 원화

해외에서 현지통화로 결제할 경우) 현지통화-> 달러-> 원화 

따라서 해외에서 결제시에는 달러나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 결제해야 하는 온라인사이트, 직구사이트에서도 달러로 결제하는 것이 더 저렴합니다. 카드사마다 해외원화결제를 차단하는 부가서비스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DCC 해외원화결제 차단서비스)

원화로 결제하면 추가 수수료도 붙고 환전도 여러번 되어 불리한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카드사에서도 원화로 결제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도 준비되어 있으니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해외에서 헷갈리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미리 차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현지에서 현금인출 시에는 반드시 체크카드를 사용합니다. 

해외여행을 갔는데 환전한 돈은 다 썼고 카드결제는 하고 싶지 않은 분들은 현금인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금 인출의 경우 해외ATM기기의 로고가 있는 카드여야만 가능합니다. 해외가서 본인 카드에 찍힌 로고가 그려진 ATM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체크카드로 인출하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착각해서 신용카드로 해외에서 돈을 뽑으면 현금서비스 단기카드대출이 됩니다. 만약 모르고 신용카드로 돈을 인출한 경우 현금서비스 수수료가 매일 계산되기 때문에 재빨리 선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리가 무려 연 23.9%입니다. 게다가 단기카드대출을 받게 되면 신용도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인출 시 간혹 핀번호(PIN)를 6자리를 누르라고 하는데 비밀번호+00 을 붙이면 됩니다. 

반응형